공학

ArcView를 이용한 유출곡선계수(CN)산정방법

착선 2023. 6. 11. 11:10
반응형

수문해석을 위한 여러 매개변수 중 선행토양함수조건(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 AMC)에 따른 유출곡선지수(Runoff Curve Number : CN)의 변화는 유출해석시 유출량의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Hawkins, 1978). 미국 토양보존국(US. Soil Conservation Service, SCS)에서는 미계측 유역의 토양특성과 식생피복상태 및 선행강수조건 등에 대한 상세한 자료의 분석을 통해 강우로부터 유효우량을 추정하는 인자로서 Curve Number(CN)를 제안하였다(SCS, 1972). 유역의 유출량은 기본적으로 침투, 증발산, 토양수분, 강우강도 등의 영향을 받는데, 유출곡선지수를 통해 이러한 여러 인자를 하나의 값으로 표현할 수 있기에 이 방법은 국내 실무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CN 값 산정에 있어 필요한 기본자료는 개략토양도(or 정밀토양도), 토지이용도, boundary map이다. 개략토양도나 정밀토양도는 농촌진흥청 혹은 영남농업시험장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다.(개략토양도의 경우 1 : 250,000) 토지이용도는 일부지역만 수치지도화 되어 있으며 국립정보지리원에서 살 수 있다.


Acrview의 모든 기능을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기본적인 기능외에 추가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Extensions을 불러온다. Available Extension에서 아래의 표에 해당하는 목록을 체크표시 해준다. 또한 항상 적용이 될 수 있도록 Make Default를 체크후 [ok]버튼을 눌러준다.

기본적으로 체크해야할 Extensions
3D Analyst
ADRG Image Support
Basin 1
CADRG Image Support
Cad Reader
Database Access
Geoprocessing
Grid Tools[Jenness...]
HEC-GeoHMS 1.1
HEC-GeoRAS 3.1.1
Hydrologic Modeling v1.1
JPEG Image Support
Legend Tool
CRWR Raster
Report Writer
Spatial Analyst
Spatial Tools
Grid Generalization
Grid Transformation
Create Thiessen Polygons
TIFF 6.0 Image Support
VPF Viewer
XTools Extension


유역의 boundary map과 개략토양도를 불러들인다.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개략토양도를 자르기 위한 틀로 생각하면 된다. 개략토양도는 토양의 형태, 즉 토양이 가지고 있는 성질을 나타내며 이는 CN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정밀토양도는 유역이 클 경우 유역에 해당하는 단면들을 모두 불러들인 후 이를 합쳐 하나의 shp파일로 만들어 준다.


생성된 정밀토양도를 유역에 맞게 자른다.

 


토양도의 범례를 수정한다. 이 과정은 개략토양도에 토양형을 살펴보기 위한 과정이다


토지이용현황도 또한 단면들을 모두 불러들인 후 이를 합쳐야 한다. 토지이용현황도를 개략토양도를 유역에 맞게 자른 것처럼 자른다

 


생성된 파일을 엑셀형식으로 불러낼 수 있다. 이는 토양도와 토지이용현황도에서 추출해 낸 UCB, Soilsy, AREA 값으로 CN값을 산출해 낼 수 있다


Grid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