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

용수수요 추정

착선 2023. 3. 19. 13:52
반응형

1. 용수수요 산정 목적

미래의 불확실성을 최소화, 상수도 시설의 적정규모를 산정함으로써 수도시설 계획시 적정규모 투자 가능

2. 예측모델의 종류

정량적 모형 - 등차급수법, 등비급수법, 지수함수법, 베기함수법, 로지스틱, 수정지수법
정성적 모형 - 델파이법, 시장조사법

등차급수법 Pt + PN = Pt + b * N
증가율은 비교적 작고 단기간 예측에 적합
일반적으로 발전이 거의 끝난 도시에 적용

등비급수법 Pt + PN = Pt (1 + r)^N
상당히 긴 시간 동안 같은 증가율을 가진 도시에 적용
일반적으로 발전이 계속될 도시에 적용됨

최소제곱법 Pt = a + b * t
과거의 추세가 직선의 경향을 보일 경우 사용

지수성장법 Pt = Po + A * N^a
단기간에 급격히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사용

수정지수곡선법 y = k - a * b^x
TV, 자동차 등의 판매수량의 증가경향, 컴퓨터 연산속도의 상승경향 등 경제활동이나 기술적 변동 경향을 설명하거나 이들의 장래를 수량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성장곡선

로지스틱 곡선법 PN = K / 1 + e^(b - a * x)
도시의 대소 규모에 관계없이 적용가능
장기간에 걸친 용수수요나 인구추정에 많이 채용
극매개변수를 결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음

3. 생활용수 산정

장래 수요량 = 장래급수인구 * 1인1일최대급수량 = 장래인구 * 보급률 * 1인1일평균사용량 * 첨두부하율

4. 장래인구 산정

장래인구 = 자연적 증가인구 + 사회적 증가인구

5. 급수보급율 및 유수율

급수보급률 = 급수인구 / 급수대상인구
유수율 = 요금수량 / 생산량
첨두부하율 = 일최대급수량 / 일평균급수량
1인1일평균급수량 = 1인1일평균사용량 / 유수율

반응형